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4/05   »
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SoWhat

제3편 상소 제1장 통칙 (338) 본문

형사소송법/상소 등

제3편 상소 제1장 통칙 (338)

관심충만 2015. 3. 29. 08:01

제3편 상소


제1장 통칙


제338조(상소권자)

① 검사 또는 피고인은 상소를 할 수 있다.

② 삭제 <2007.12.21>


제339조(항고권자)

검사 또는 피고인 아닌 자가 결정을 받은 때에는 항고할 수 있다.


제340조(당사자 이외의 상소권자)

피고인의 법정대리인은 피고인을 위하여 상소할 수 있다.


제341조(동전)

① 피고인의 배우자, 직계친족, 형제자매 또는 원심의 대리인이나 변호인은 피고인을 위하여 상소할 수 있다. <개정 2005.3.31>

② 전항의 상소는 피고인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 하지 못한다.


제342조(일부상소)

① 상소는 재판의 일부에 대하여 할 수 있다.

② 일부에 대한 상소는 그 일부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부분에 대하여도 효력이 미친다.


제343조(상소 제기기간)

① 상소의 제기는 그 기간 내에 서면으로 한다.

② 상소의 제기기간은 재판을 선고 또는 고지한 날로부터 진행된다.


제344조(재소자에 대한 특칙)

① 교도소 또는 구치소에 있는 피고인이 상소의 제기기간 내에 상소장을 교도소장 또는 구치소장 또는 그 직무를 대리하는 자에게 제출한 때에는 상소의 제기기간 내에 상소한 것으로 간주한다. <개정 1963.12.13>

② 전항의 경우에 피고인이 상소장을 작성할 수 없는 때에는 교도소장 또는 구치소장은 소속공무원으로 하여금 대서하게 하여야 한다. <개정 1963.12.13>


제345조(상소권회복청구권자)

제338조 내지 제341조의 규정에 의하여 상소할 수 있는 자는 자기 또는 대리인이 책임질 수 없는 사유로 인하여 상소의 제기기간 내에 상소를 하지 못한 때에는 상소권회복의 청구를 할 수 있다.


제346조(상소권회복청구의 방식)

① 상소권회복의 청구는 사유가 종지한 날로부터 상소의 제기기간에 상당한 기간 내에 서면으로 원심법원에 제출하여야 한다.

② 상소권회복의 청구를 할 때에는 원인된 사유를 소명하여야 한다.

③ 상소권의 회복을 청구한 자는 그 청구와 동시에 상소를 제기하여야 한다.


제347조(상소권회복에 대한 결정과 즉시항고)

① 상소권회복의 청구를 받은 법원은 청구의 허부에 관한 결정을 하여야 한다.

② 전항의 결정에 대하여는 즉시항고를 할 수 있다.


제348조(상소권회복청구와 집행정지)

① 상소권회복의 청구가 있는 때에는 법원은 전조의 결정을 할 때까지 재판의 집행을 정지하는 결정을 할 수 있다. <개정 2007.6.1>

② 전항의 집행정지의 결정을 한 경우에 피고인의 구금을 요하는 때에는 구속영장을 발부하여야 한다. 단, 제70조의 요건이 구비된 때에 한한다.


제349조(상소의 포기, 취하)

검사나 피고인 또는 제339조에 규정한 자는 상소의 포기 또는 취하를 할 수 있다. 단, 피고인 또는 제341조에 규정한 자는 사형 또는 무기징역이나 무기금고가 선고된 판결에 대하여는 상소의 포기를 할 수 없다.


제350조(상소의 포기등과 법정대리인의 동의)

법정대리인이 있는 피고인이 상소의 포기 또는 취하를 함에는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. 단, 법정대리인의 사망 기타 사유로 인하여 그 동의를 얻을 수 없는 때에는 예외로 한다.


제351조(상소의 취하와 피고인의 동의)

피고인의 법정대리인 또는 제341조에 규정한 자는 피고인의 동의를 얻어 상소를 취하할 수 있다.


제352조(상소포기 등의 방식)

① 상소의 포기 또는 취하는 서면으로 하여야 한다. 단, 공판정에서는 구술로써 할 수 있다.

② 구술로써 상소의 포기 또는 취하를 한 경우에는 그 사유를 조서에 기재하여야 한다.


제353조(상소포기 등의 관할)

상소의 포기는 원심법원에, 상소의 취하는 상소법원에 하여야 한다. 단, 소송기록이 상소법원에 송부되지 아니한 때에는 상소의 취하를 원심법원에 제출할 수 있다.


제354조(상소포기 후의 재상소의 금지)

상소를 취하한 자 또는 상소의 포기나 취하에 동의한 자는 그 사건에 대하여 다시 상소를 하지 못한다.


제355조(재소자에 대한 특칙)

제344조의 규정은 교도소 또는 구치소에 있는 피고인이 상소권회복의 청구 또는 상소의 포기나 취하를 하는 경우에 준용한다. <개정 1963.12.13>


제356조(상소포기등과 상대방의 통지)

상소, 상소의 포기나 취하 또는 상소권회복의 청구가 있는 때에는 법원은 지체없이 상대방에게 그 사유를 통지하여야 한다.

'형사소송법 > 상소 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----- 제2장 항소 (357)  (0) 2015.03.29
----- 제3장 상고 (371)  (0) 2015.03.29
----- 제4장 항고 (402)  (0) 2015.03.29
제4편 특별소송절차 제1장 재심 (420)  (0) 2015.03.29
----- 제2장 비상상고 (441)  (0) 2015.03.29